文대통령 책상 위 남북정상 '핫라인' 포함 모든 통신 연락채널 2년만에 단절
文대통령 책상 위 남북정상 '핫라인' 포함 모든 통신 연락채널 2년만에 단절
  • 김시온 기자
  • 승인 2020.06.09 12: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상간 직접소통 채널 상징성"…가동 알려진 바는 없어
북한이 청와대 핫라인을 포함해 남북 간 모든 통신 연락 채널을 완전히 차단·폐기한다고 9일 밝혔다. 북한은 실제 이날 오전 연락사무소 채널과 군 통신선 채널에서 모두 남측의 연락 시도에 응하지 않았다.사진은 2018년 4월 20일 청와대에 설치된 남북 정상 간 '핫라인'(Hot Line·직통전화) 전화기. [사진=연합뉴스]
북한이 청와대 핫라인을 포함해 남북 간 모든 통신 연락 채널을 완전히 차단·폐기한다고 9일 밝혔다. 북한은 실제 이날 오전 연락사무소 채널과 군 통신선 채널에서 모두 남측의 연락 시도에 응하지 않았다.사진은 2018년 4월 20일 청와대에 설치된 남북 정상 간 '핫라인'(Hot Line·직통전화) 전화기. [사진=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이 9일 "6월 9일 12시부터 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와 청와대 사이의 직통통신연락선을 완전 차단·폐기하게 된다"고 밝히면서 청와대와 북한 국무위원회를 연결하는 핫라인이 설치 2년 만에 끊어질 위기에 처했다.

'톱다운' 방식의 남북대화를 끌고 온 문재인 대통령으로서는 역사상 처음으로 마련된 남북정상의 직접 소통 채널이 닫힌다는 점에서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핫라인은 1차 남북정상회담을 일주일 앞둔 2018년 6월 20일 개통됐다.

청와대 여민관 3층 문 대통령의 집무실 책상 위에 전화기가 놓여졌지만 관저와 본관 집무실 등 대통령 업무장소에서 모두 연결되도록 조치가 됐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당시 청와대는 설치 완료 직후에 4분19초 동안 북측과 시험통화를 하기도 했다.

송인배 당시 제1부속실장이 북한 담당자에게 전화를 걸어 3분2초, 곧바로 북측이 전화를 걸어와 1분17초간 대화를 나눴다.

이후 2018년 세 차례 남북정상회담 등 굵직한 이벤트가 벌어질 때마다 문 대통령과 김정은 국방위원장이 핫라인을 사용할지가 초미의 관심사였으나, 청와대는 아직 핫라인 통화가 이뤄졌다고 밝힌 적은 없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핫라인의 경우 실제로 남북정상이 사용하지 않았더라도 언제든 대화를 나눌 수 있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컸다"고 평가했다.

다만 청와대 내 일각에서는 북한의 이번 발표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도 있다.

대북전단 살포 문제를 내세우긴 했으나 '적대행위 중지를 명기한 9·19 군사합의를 제대로 이행하라'는 것이 북한의 근본적인 메시지라는 분석이다.

따라서 상호 간 9·19 군사합의 준수 의지를 확인하고 대화 재개의 실마리를 마련한다면 언제든 소통 채널이 다시 복구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흘러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